國情院, ‘사이버안전의 날’행사 개최로 사이버 안전에 대한 제도적 체계 보완

서울--(뉴스와이어)--國情院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2.18(金) COEX 그랜드컨퍼런스룸에서 국방부·정보통신부·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조하여 ‘사이버안전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범 국가차원의 사이버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한데 대한 의의와 사이버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행사에는 국정원장, 국방부차관·행자부차관·정통부차관 등 정부 인사와 (주)안철수연구소 대표이사, 정보보호학회장·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장, 정보보호산업협회장 등 産·學·硏 사이버안전 관계자 500여명 참석하였다.

고영구 국정원장은 기념사에서 "이제 사이버 공간의 안전성 확보는 개인의 사생활 보호는 물론 국가 경쟁력과 안보를 위한 핵심 과제가 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사이버 공간이 국민들의 꿈을 실현하고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기회의 場’이 될 수 있도록 파수꾼 역할에 매진해 나가야 하며, 이번 행사가 국민들의 사이버 안전 의식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시발점이 되기 바란다"고 강조하였다.

이어서, 지난 1.31 大統領 훈령으로 발령한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 소개에서는 제정 배경 및 추진 경과, 주요 골자와 제정 의의 등을 설명하였는데 同 규정 제정을 통해 國情院이 국가 사이버안전 정책과 관리를 총괄 조정하는 기관으로서 국가차원의 사이버위협 감시, 분석정보 지원, 예방활동, 사고복구 등 종합적인 보안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외교·법무·국방·행자·정통부 차관 및 NSC 사무차장 등이 위원으로 참여하는 「국가사이버안전전략회의」(의장:국정원장) 신설하고 경보단계도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로 구분하는 등 사이버 위협 대처의 효율성을 강화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밝혔다.

그리고, 주제 강연에서는 國情院, 국방·정통부, 경찰청 등 4개 기관이 사이버안전 업무수행 실적과 향후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는데 경찰청 등 유관기관들은 인터넷 해킹 등 최근 사이버범죄 동향과 관련하여 자동화·고도화된 공격으로 국가 정보통신 기반을 위협하고 차세대 인터넷 기술 등을 이용한 신종 범죄 급증 및 조직화·국제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국가안보는 물론 경제·사회·문화 등 전 부문의 파급영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최근 사이버범죄 발생 건수(검거 건수, 경찰청 집계)는 02년 60,068건(41,900건), 03년 68,445건(51,722건), 04년 77,099건(63,384건)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앞으로 國情院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지난해 5,500여건의 사이버위협 징후를 탐지·조치하고 국가·공공 기관에서 발생한 3,900여건의 침해사고를 복구하는 등 국가 사이버 안전을 위해 전방위 활동을 전개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이버위협 보안관제 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보안 死角地帶를 최소화하며 해킹탐지·분석·방어 등 핵심 기술을 국가 전략과제로 집중 개발하고 과거 사이버 위협정보를 정밀 분석, 미래의 사이버안전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미국·영국·독일·프랑스에 이어 일본·호주·캐나다 등과의 협력체제 구축을 통해 사이버 위협에 대한 국제공조를 강화하면서 지난 1년간의 사이버 공격 예방 및 대응기술과 경험을 민간에도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미래사회의 ‘안전한 유비쿼터스 시대’를 열어가는 첨병으로서 ‘국가안보와 국익 지킴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IT선진국에 걸맞게 대한민국을 세계 최고 사이버안전 강국으로 만드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하였다.

한편, 정보통신부는 앞으로 침해사고 사전 분석능력을 강화하고 전용백신 및 보안패치 백업 구축 등을 추진하며 사이버 보안에 대한 對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하여 안전하고 따뜻한 U-KOREA를 구현하겠다고 보고하였으며 국방부 국방정보전대응센터는 軍 정보보호 전문인력 확보, 新기술도입 및 능력을 확충하고 통합보안관제 및 수사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완벽한 국방정보보호 태세를 확립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최첨단 디지털 수사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작년 12월 ‘디지털 증거분석센터’를 설치한데 이어 앞으로도 조직 및 인력 기술을 지속 보강하고, 디지털 증거 관련 법·제도적 정비를 통해 세계 초일류 사이버 경찰로 발돋움할 것을 밝혔다.

한편, 사이버안전업무 유공자 및 유공기관에 대한 포상에서 행정자치부 전자정부지원센터가 국가안전보장패를, 문재철 STG시큐리티 대표 등 7명이 국정원장 표창을 수상하고, 이철수 경원대 S/W 대학원 원장 등 3명은 국정원장 감사패를 받았다.

<참고>국가사이버안전센터 開所 1주년 成果 및 향후 계획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국가·공공기관을 비롯, 국민 모두가 안전하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o 경보수준을 관심(Blue), 주의(Yellow), 경계(Orange), 심각(Red) 등 4단계로 설정하고 각 단계별 대응체계를 마련·시행하는 등 국가사이버안전업무 수행체계를 마련한데 이어

o 설립이후 국가 주요 정보통신망에 대한 24시간 365일 사이버 위협 정보를 수집·분석·전파하는 국가 종합상황실 운영을 통해 국가·공공기관으로부터 5,500여건의 사이버위협을 조기 탐지하여 이를 차단하는 조치를 취하였고

o 중대한 사이버위협 발생시 6건의 ‘경고경보’를 발령하는 한편 웜·바이러스 분석정보, 보안권고문 등 190여건을 각급기관에 지원, 피해확산을 조기에 차단하였다.

o 또한, 국가·공공기관에서 발생한 3,900여건의 해킹 및 웜·바이러스 감염사고에 대해 현지출장 또는 遠隔조사를 통해 원인규명 및 복구지원 활동을 수행하였다.

o 아울러, 美국토안보부(DHS)·英국가기반보안조정센터(NISCC)·獨연방정보보안청(BSI)·佛정보시스템보안센터 (DCSSI) 등 4개국 해외 보안기관과 사이버위협정보 공유채널을 구축

o 안철수연구소·하우리 등 國內 정보보호업체 및 보안관제網 연동기관들과 사이버테러대응협의체를 구성, 웜·바이러스정보 분석과 사이버위협정보를 공유하였다.

o 또한, 지난해 10월 외교부와 공동으로 제주에서 20개국 政府관계자 및 전문가(93명) 참석하에 ‘사이버테러관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여 사이버테러 대응을 위한 국제공조를 제안, ‘회원국 국가 컴퓨터긴급 대응팀(CERT)간 네트워크 구축’ 등 3개 권고안을 채택하는 成果를 거두는 등 국가 사이버안전을 위한 전방위 활동을 전개하였다.

앞으로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o 보안관제 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관제시스템의 자동화·고도화 및 新種 사이버공격 탐지기술 확보를 통해 보안 死角地帶를 최소화하고

o 해킹탐지·분석·방어 등 核心技術을 국가전략과제로 집중 개발하여 기술력을 提高하고 과거의 사이버위협정보를 분석해서 미래 사이버 안전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o 정통부·경찰청 등 國內 유관기관 및 海外 사이버보안기관과의 침해사고 대응·공조체계 구축을 확대·강화하는 등 IT 强國 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사이버안전 强國으로서의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도록 노력할 것이며

o 지난 1년간의 사이버공격 예방 및 대응기술과 경험을 民間에도 적극 지원하고, 사이버안전에 대한 국민 의식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국가정보원 개요
국가안전 보장에 관련되는 정보 보안 및 범죄 수사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는 대통령 직속하의 국가 정보기관이다.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본부가 있으며, 해외 분야를 맡는 1차장, 국내 분야를 맡는 2차장, 북한을 맡는 3차장과 기획조정실장이 있다. 주요 업무는 안보 관련 수사, 대북 정보 수집, 방첩, 산업 보안, 대테러, 사이버안전, 국제범죄, 해외정보 수집 등이다. 육군 대장 출신인 남재준 원장이 2013년부터 국가정보원을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nis.go.kr

연락처

문 의(02) 557-0264,557-028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