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독도연구소, 학진 ‘중점연구소’ 선정
특히 영남대 독도연구소는 교육부 지정 정책과제 ‘독도학 정립을 위한 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를 중점 수행하게 된다. ‘영유권 확립을 위한 매뉴얼 개발’이라는 부제로 진행되는 정책과제 연구는 다(多)학문,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독도영유권 재확인, 국제사회에서 용인되는 이론 개발로 일본 측 주장의 허구성과 부당성 증명, 국내외 독도 전문연구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 한국의 독도주권에 대한 국제적 홍보 및 올바른 지식 전파, 독도에 대한 국가 정책개발 방향 제시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영남대 독도연구소는 국제법연구, 역사·인문, 자연자원, 독도이용개발 등 총 4개 부분에 걸쳐 2010년까지 1단계 과제를 수행한다. 먼저 2008년에는 ‘근대 100년간 한·일 양국의 독도연구 및 정책동향 분석’, ‘독도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례 및 판례 연구’, ‘독도 생태보전과 해양환경 및 자원관리방안 연구’ 등을 중점 수행하는 한편 ‘남북한 공동학술회의’ 등 국내외 학술대회 및 정책주제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아울러 저널『독도연구』및 독도연구총서 발간, 독도아카이브 상설 전시 및 순회전시, 인터넷강의 ‘독도의 이해’ 개설 등을 계획하고 있다.
2009년에는 ‘일제 침략기의 한·일간 독도연구 및 정책동향 분석’, ‘2000~2005년 국제영토분쟁의 사례 연구’ 등의 정책과제 연구를 계속하는 한편 남북한 공동연구 추진, 초·중·고 교재개발, 독도 홍보 우표 등을 새로이 추진할 계획이다.
2010년에는 ‘해방이후 한·일간 독도연구 및 정책동향 분석’, ‘국제사법재판소에 계류 중인 국제영토분쟁의 사례 연구’ 등의 정책과제 수행, 공무원 및 기업 연수 프로그램 개발, 국내외 연구인력 네트워크 구축 등을 중점 추진하게 된다.
이에 대해 김화경(61) 영남대 독도연구소장은 “반일감정에 호소하는 증흑적인 대처방식으로는 독도문제를 풀 수 없음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100년 이상 독도 편입 프로젝트를 추진해 온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우리도 ‘언론 독도학’이 아닌 진정한 의미의 ‘독도학’ 연구를 시작할 때”라며 “이론 연구에만 그치지 않고 정부정책수립에도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독도연구소를 운영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웹사이트: http://www.yu.ac.kr
연락처
영남대학교 비서홍보팀 변점식 팀장 053-810-1011
영남대학교 비서홍보팀 이원영 053-810-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