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USN 표준화 위해 정통부 팔 걷어부쳐
지금까지는 각 부처별로 RFID/USN 사업이 진행되어 서로 간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 확대가 어려웠으나, 범부처 표준화 협의를 통해 사업간 연계를 강화하여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등 공공 및 민간분야 RFID/USN 확산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26일 오후 김동수 정보통신부차관 주재로 범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RFID/ USN 17개 중점 확산사업’에 관련된 15개 정부부처 고위공무원과 민간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RFID/USN 범부처 통합표준협의회‘를 열었다.
표준협의회는 경제부총리 지시(경제정책조정회의, '07.8.31)에 따라 정보통신부 주관으로 만들어졌다. 협의회는 ‘RFID/USN 17개 중점 확산사업’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 주파수, 정보보호 등의 표준 ▲ 응용서비스별 수요자 요구사항 ▲ RFID/USN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가이드라인 등 RFID/USN 표준화 전반에 걸친 업무 협의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늘 열린 ‘제1차 RFID/USN 범부처 통합표준협의회’ 회의에서는 향후 RFID/USN 정책 추진방향을 보고하고, RFID/USN 범부처 통합표준협의회 운영규정을 확정했다.
향후 이번 표준협의회를 토대로 RFID/USN 확산사업 - 기술개발 - 표준화 - 인프라 구축 등 유관정책 간 선순환 고리가 형성되어 RFID/USN 서비스의 빠른 확산과 함께 우리 IT 산업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되는 RFID/USN 분야의 산업경쟁력이 업그레이드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통신부 개요
정보통신부는 1884년 창설된 우정총국를 모체로 우편, 우편환금, 전기통신, 국민생명보험, 우편연금 및 정부취급금의 출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1948년 11월에 설립된 체신부가 각 부처에 분산된 정보통신산업을 일원화하여 국가발전 전략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1994년 12월 정보통신부로 확대 개편되어 정보화, 정보통신, 전파방송관리, 우편·금융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ic.go.kr
연락처
지식정보산업팀장 이정구 750-2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