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해수욕장과 인근 주거지역 대기 중 벤젠 오염도 높아
벤젠은 국제암연구센터(IARC),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환경보호청(EPA) 등이 ‘인간에게 확실한 발암성 물질’로 규정하는 대표적인 발암물질에 속한다. 벤젠은 1㎍/㎥(약 0.3ppb)의 농도로 평생 노출될 경우 100만 명 중 6명, 17㎍/㎥(약 5.1ppb)로 노출될 경우 1만 명 중 1명꼴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벤젠을 오랫동안 취급하는 사람이 보통 사람보다 백혈병 발병 가능성이 20배나 높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기도 했다.
총 24개 조사지점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2010년부터 적용할 예정인 대기환경기준 5㎍/㎥(1.5ppb)을 초과한 지점은 19개 지점(79%)이었다. 가장 높은 벤젠 농도를 보인 곳은 구례포 해수욕장으로서 1.94ppb가 검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이원면 만대포구(1.91ppb), 학암포 해수욕장(1.88ppb)의 순이었다. 한편, 구례포 및 학암포 해수욕장에서는 일반 대기환경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1,4-디클로로벤젠이 각각 0.82ppb, 1.29ppb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신경독성물질인 톨루엔이나 여타 휘발성 물질은 그다지 높은 농도로 검출되지 않았다. 해안가에서는 공단에 인접해 있지 않은 한 이들 물질이 검출될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원유 유출로 인해 일부 검출되었다는 것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의 위해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조사에서는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한지 4일이 지난 후 이루어졌음에도 벤젠이 24개 조사지점 모두에서 일본의 대기환경기준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사고 발생 직후에는 주민들과 방제작업 참여자들이 더욱 높은 농도의 벤젠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해 최충식 대전시민환경연구소 기획실장은 “임산부, 노약자, 어린이와 같은 신체적 약자들과 사고 발생 직후 방제작업에 참여했던 주민들과 군인 등을 대상으로 정밀 역학조사와 그에 따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병옥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민간단체에 의한 조사는 인력과 조사비용의 한계로 조사 범위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며, “보다 광범위한 지역과 피해 대상에 대한 중장기적인 조사는 국가기관과 민간단체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조사개요
- 측정기간 : 2007년 12월 11일 ~ 15일 (4일간)
- 측정방법 : Passive Sampler를 이용하여 공기 채집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
* Passive Sampler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측정방법은 학계나 민간연구기관에서 지난 10여 년간 일반적으로 사용해온 방법으로 거제 석유비축기지 휘발성물질 조사, 조선업 휘발성 물질 발생조사, 산업단지를 비롯한 매립장, 소각장 등의 오염조사, 신축건물의 휘발성물질 발생조사 등에 주로 활용되었다. 이 조사방법은 손쉽게 공기를 채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넓게 확산되는 오염물질 분석에는 최적의 방법이다. 일정기간 오염물질에 노출된 Passive Sampler는 GC(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그 결과에 대한 과학적 정확성을 가지고 있다.
- 측정물질 : 10개 항목 (Benzene, Toluene, Chlorobenzene, Ethylbenzene, m,p-Xylene,
o-Xylene, Styrene, 1,2-Dichlorobenzene, 1,3-Dichlorobenzene,
1,4-Dichlorobenzene)
- 측정지점 : 해수욕장 및 해안에서 1km 이내 주거지역과 초등학교 등 총 30개 지점
조사결과
총 30 지점 중 샘플 기기가 분실된 6개 조사지점을 제외한 24지점 가운데 해수욕장 13지점, 주거지역/초등학교 11 지점의 측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로 원유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벤젠류가 검출되었는데, 벤젠 외에도 일부 조사지점에서 일반 대기환경에서 잘 검출되지 않는 1,4-디클로로벤젠이 검출되었다(표 1).
24개 조사지점의 평균 측정값은 벤젠(Benzene) 1.62ppb, 톨루엔(Toluene) 1.16ppb,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1.77ppb, 에틸벤젠(Ethylbenzene) 0.30ppb, 엠피크실렌(m,p-Xylene) 0.21ppb, 오크실렌(o-Xylene) 0.39ppb, 스티렌(Styrene)은 0.79ppb이었다. o-Xylene을 제외한 모든 측정항목은 해수욕장 지점이 주변 주거지역 지점에 비해 높은 측정값을 나타냈다.
특히 벤젠 농도는 24개 조사지점 모두에서 일본의 대기환경기준 3㎍/㎥(0.94 ppb)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1, 표2). 우리나라에서 2010년부터 적용할 예정인 대기환경기준 5㎍/㎥(1.5ppb)을 초과한 조사지점은 총 19개 지점(79%)이었다. 해수욕장 13개 조사지점 중에서 5㎍/㎥(1.5ppb)을 초과한 조사지점은 파도리 해수욕장을 제외한 12개 지점(92%)이었으며, 주거지역에서는 총 11개 조사지점 중 7개 지점(64%)이 기준을 초과했다.
가장 높은 벤젠 농도를 보인 곳은 구례포 해수욕장으로서 1.94ppb가 검출되었고, 이원면 만대포구(1.91ppb), 학암포 해수욕장(1.88ppb)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구례포 및 학암포 해수욕장에서는 일반 대기환경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1,4-디클로로벤젠이 각각 0.82ppb, 1.29ppb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신경독성물질인 톨루엔이나 여타 휘발성 물질은 그다지 높은 농도로 검출되지 않았다. 해안가에서는 공단에 인접해 있지 않은 한 이들 물질이 검출될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원유 유출로 인해 일부 검출되었다는 것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의 위해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결과에 따른 대책 제안
벤젠은 국제암연구센터(IARC),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환경보호청(EPA) 등이 ‘인간에게 확실한 발암성 물질’로 규정하는 대표적인 발암물질에 속한다. 벤젠은 1㎍/㎥(약 0.3ppb)의 농도로 평생 노출될 경우 100만 명 중 6명, 17㎍/㎥(약 5.1ppb)로 노출될 경우 1만 명 중 1명꼴로 암을 유발하며, 벤젠을 오랫동안 취급하는 사람이 보통 사람보다 백혈병 발병 가능성이 20배나 높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기도 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한지 4일이 지난 후 이루어졌음에도 벤젠이 24개 조사지점 모두에서 일본의 대기환경기준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사고 발생 직후에는 주민들과 방제작업 참여자들이 더욱 높은 농도의 벤젠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상대적으로 임산부, 노약자, 어린이와 같은 신체적 약자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정밀 역학조사와 그 결과에 따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사고 발생 후 방제작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했던 주민들과 군인 등에 대해서도 조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더불어 가축이나 야생동식물 등 육상생태계에 미친 피해나 영향에 대해 조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대전시민환경연구소와 UNDP국가습지사업단과 함께 휘발성 물질의 발생추이를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자원봉사자나 주민들의 노출 정도에 대한 평가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단체에 의한 조사는 인력과 조사비용의 한계로 인해 조사 범위가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보다 광범위한 지역과 피해 가능 대상에 대한 중장기적인 조사는 국가기관과 민간단체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할 것이다.
환경운동연합 개요
환경보전을 위한 교육, 홍보, 캠페인, 정책제안 등의 활동을 하는 환경단체
웹사이트: http://www.kfem.or.kr
연락처
환경운동연합 02-735-7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