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편찬위원회, 전러시아고려인협회와 극동한인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70주년 국제학술회의 개최
국사편찬위원회(위원장 유영렬)는 10월 12일(금),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전러시아고려인협회(회장 조바실리)와 공동으로 “21세기,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고려인”을 주제로, <극동 한인 강제 이주 및 중앙아시아 정주 70주년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한다.
이 국제학술회의는 70년 전 집단 이주가 가져온 고려인 사회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조명하고, 구소련 해체 후 고려인 사회의 변화와 앞으로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고려인 사회는 구소련의 해체와 중앙아시아 각국의 분리ㆍ독립 과정에서 또 다른 이동 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극동 한인 강제 이주 70년 간의 고려인의 삶을 역사적으로 조명하고, 현재 그들이 처한 현안과 한ㆍ러 관계에서의 바람직한 역할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현재적인 의의를 지니는 것이다.
국사편찬위원회는 이 국제학술회의를 통하여 러시아 및 독립국가연합 지역 교민들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고취시키고, 러시아인들에게 고려인 이주의 역사를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의에서 국사편찬위원회 유영렬 위원장이 기조연설을 통하여 “러시아ㆍ중앙아시아 한인이주사는 한민족의 강인한 생명력과 우수성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발표문(발표자 7명)에서는 강제이주를 전후하여 홍범도 등 항일혁명투사들이 당한 고난과 복권 과정, 카자흐스탄 고려인들이 특유의 근면성과 집요함, 사교성을 통하여 사회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는 과정, 재러고려인 사회가 문화적으로 부흥되는 과정 등, 강제 이주 후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생생한 역사적ㆍ현재적 삶의 모습이 다각적으로 조명된다.
학술회의가 끝난 후에는 출판기념회가 진행된다. 출판기념회에서는 국사편찬위원회가 편찬한『소련의 정치탄압 희생자들-고려인』,『소련의 고려 사람들』, 전러시아고려인협회가 편찬한『독립국가연합내의 고려인들』, 모스크바 삼일문화원이 편찬한『한국학총서』에 대해 해설과 축하의 자리가 마련될 예정이다.
학술회의 개요 및 일정
1. 개회식 (10:00 ~ 10:30) 사회: 구선희(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실장)
1) 기조연설 - 유영렬(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2) 축사: 조 바실리(전러시아고려인협회 회장)
3) 고려인 이주 정착사 디지털 콘텐츠 소개(김점숙,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2. 학술 발표회(10:30~16:20)
1) 제1부: 중앙아시아 정주 이후 고려인의 삶의 변화(10:30~12:00)
사회 : 박 보리스 D. (러시아과학아카데미 동방학연구소 선임연구원)
⑴ 카자흐스탄 거주 고려인의 사회-인구 상황
▫ 발표: 김게르만(카자흐스탄국립대학교 교수)
▫ 토론: 최 발렌틴 V. (재러독립유공자후손협회 회장)
⑵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경제활동에 따른 사회적 위상 변화
▫ 발표: 심헌용(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 토론: 이계룡(키르기즈스탄 문화원)
⑶ 강제 이주 후, 살아남은 자들의 역사 회상과 삶
▫ 발표: 반병률(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
▫ 토론: 남 스베틀라나 G.(러시아과학아카데미 동방학연구소 연구원)
· 점심 및 휴식 : 사진촬영(12:00 ~ 13:20)
2) 제2부 : 소련이후 고려인 사회의 현안과 발전 방향(13:20 ~ 15:20)
사회 : 천 발렌틴(고려인신문 편집장)
⑷ 고려인 민족 공동체 문제에 대한 1990년~ 21세기 초 러시아 역사학
▫ 발표: 부가이 N.F. (교수, 러시아연방 지역발전성 고문)
▫ 토론: 빠따호바 엘레나 (한띠 만시, 역사학)
⑸ 한반도 평화와 통일문제에 대한 고려인의 역할
▫ 발표: 리 블라디미르 F.(러시아외교아카데미 교수/아·태연구소소장)
▫ 토론: 보론쏘프 A. V.(러시아과학아카데미 동방학연구소 한·몽골과장)
⑹ 소련 해체 후 영토(공간)에서의 고려인 문화 부흥과 발전
▫ 발표: 심 라리사(쿠반대 교수)
▫ 토론: 엄넬리(모스크바 한민족학교 교장)
⑺ 볼가하류 지역의 고려인 거주민(2006년 사회학 설문조사 결과 분석)
▫ 발표 : 이형근 (삼일문화원 원장)/
▫ 토론 : 김 일기자 A.(볼고그라드 시청/ 사회학박사)
3) 제3부 : 종합토론 (15:20 ~ 16:20)
사회 : 보론쏘프 A. V.(러시아과학아카데미 동방학연구소 한·몽골과장)
▫ 토론자 : 장 발레리(전러시아고려인협회 조정위원), 이석배(러시아 주재 한국대사관 총영사), 제빈(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장), 1ㆍ2부 발표자
3. 출판기념회(16:20 ~ 17:00) 사회 : 구선희(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실장)
1)《소련의 정치 탄압 희생자들-고려인》8, 9, 국사편찬위원회
2)《소련의 고려 사람들》, 국사편찬위원회
3) 《독립국가연합내의 고려인들》, 전러시아고려인협회, 4)《한국학 총서》, 삼일문화원
4.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주최 만찬(18:00 ~ 20:00)
: 학술대회 발표자 및 한국학 학자
※ 첨부
1. 국사편찬위원회 유영렬 위원장의 기조연설문
2. 발표문 요지
국사편찬위원회 개요
국사편찬위원회(www.history.go.kr)는 한국사 자료를 조사,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역사를 연구, 편찬하는 정부 기구이다. 1946년 3월 창설된 이래 국사편찬위원회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한국사 등 1,200여 권의 자료집과 도서를 간행하였고, 각종 고서와 고문서, 해외소재 한국사 자료를 수집하여 국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방대한 한국사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통하여 웹으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국민이 쉽고 재미 있게 우리 역사를 접할 수 있도록 역사 교육과 역사대중화 사업을 펼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history.go.kr
연락처
국사편찬위원회 홍보담당관 최영묵 02-500-8370, 010-3158-1390,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