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국제정책대학원, 제2차 고위공무원 갈등관리 과정 개최

서울--(뉴스와이어)--새만금, 방폐장 등 대형 갈등 사례들이 해결의 길로 접어들었지만 많은 갈등이 해결을 보지 못하고 있고, 새로운 갈등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갈등의 효율적인 해결은 우리나라의 선진화와 국민화합을 가로 막는 중요한 걸림돌로 남아 있다.

KDI 국제정책대학원 (원장 정진승) 갈등조정·협상센터는 2007년 5월 11일(금) 제2차 고위공무원 갈등관리 과정을 개최한다.

※ 갈등관리능력은 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감소, 합의를 통한 사회 통합에의 기여, 정책에 대한 수용성 제고 등을 이유로 공무원이 반드시 지녀야 할 능력으로 인식.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이루어지는 고위공무원 갈등관리 과정은 국무총리실, 국무조정실, 대통령비서실, 국방부등 중앙부처의 국장급(10명)과 인천광역시 등 자치단체의 본부장등 정부 및 자치단체의 실·국장급 총13명의 고위공무원이 참여한다.

고위공무원 갈등관리과정은 4개의 강의 모듈로 구성되는데, ㅇ 갈등 조정의 개념 및 절차를 통하여 문제해결에 관한 평가 방법을 학습하는 “갈등관리 및 조정”-김동영 교수(KDI 국제정책대학원)

ㅇ 환경과 개발에 관한 실제 갈등사례연구를 통해 정책갈등관리에 다각적 분석을 실시하는 정진승 원장(KDI 국제정책대학원)의 “정책협상 사례”

ㅇ 사례분석을 통한 실제 해결 결과를 알아보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갈등조정자의 역할을 교육하는 “갈등관리 레벨업”-박진 교수(KDI 국제정책대학원)

ㅇ 가정내 갈등관리를 통해 진정한 공공갈등관리의 기반을 형성케 하는 “가정갈등관리”는 부부강사인 두상달·김영숙(가정문화원)에 의해 진행된다.

“갈등은 역방향만 있는 것이 아니라 건전한 토론과 대안을 모색하는 사회 발전의 기초가 될 수 있으므로, 정부는 많은 갈등관리 과정 확대를 통해서, 갈등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범정부적 갈등사안을 관리하고, 부처간 원활한 갈등조정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있는 고위공무원를 양성해야 한다” 라고 남일총 갈등조정·협상센터소장이 전했다. 또한 남소장은 실제 KDI대학원 갈등조정·협상센터는 갈등예방 및 해결을 위해 실무급 공무원들의 능력배양을 위해 정기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KDI국제정책대학원 개요
KDI국제정책대학원은 KDI(한국개발연구원)산하에 있는 대학원으로 정책학(MPP), 경영학(MBA), 투자경영학(MFDI) 전공의 석사과정과 정책학/경영학 전공의 박사과정 및 다양한 비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전학생의 20%이상이 국제학생으로 구성되며, 공무원, 기업체 중견간부 및 NGO, 언론인 등 다양한 학생구성이 특징이며, 전과목 영어로 강의한다.

웹사이트: http://www.kdevelopedia.org

연락처

대외협력실 김현주 02-3299-126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