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도 ‘이달의 독립운동가’ 선정 발표

서울--(뉴스와이어)--국가보훈처(처장 박유철)는 2005년도『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이동휘, 안창호, 조소앙, 김좌진, 이상설 등 조국광복을 위해 헌신한 독립유공자 12명을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선정 발표했다.

그리고 이달의 독립운동가 홍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달력과 포스터 제작,배부 등 기존의 방식과 병행하여 어린이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매월 홈페이지 꾸러기 보훈광장을 활용한 다양한 홍보를 실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2005년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최용신 선생을 대상으로 12월 20일부터 1월 19일 까지 한달동안 “이달의 독립운동가와 생일이 같은 어린이 찾기” “퀴즈 응모”를 실시하여 우수자로 선정된 학생에게는 기념품을 전달할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된 독립운동가중 대표적인 인물은 연해주에서 한인적위군을 조직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총장, 국무총리 등으로 활약하면서 독립운동에 힘쓰신 이동휘 선생을 비롯해 미국 센프란시스코에서 대한인국민회와 흥사단을 조직하여 민족계몽운동을 전개한 안창호 선생, 중일전쟁당시 한국광복운동연합회를 결성하여 대중전국선언(對中戰局宣言)을 발표한 조소앙 선생, 1920년 청산리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고 1927년 한족총연합회 주석으로 활약한 김좌진 장군, 1907년 헤이그밀사로 파견되어 일제의 한국침략을 폭로하고 1911년 블라디보스톡에서 권업회를 조직하여 교민들의 독립사상을 고취한 이상설 선생 등이 선정 되었다.

선정기준은 조국광복을 위해 활동한 공적이 인정되어 건국훈장을 받은 분으로 독립운동계열을 고려하여 탄신, 의거, 사망일이 5주년, 10주년에 해당되는 분과 광복 60주년을 맞이하여 특별히 국민과 함께 공적을 기려야 할 분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국가보훈처는 이분들의 공훈을 선양하기 위해 ▲생몰연대, 공적개요를 새긴 기념패 제작 ▲이달의 독립운동가 달력과 포스터 제작 ▲기념사업회 등 민간단체를 통한 추모행사와 학술회의, 찾아가는 대중강연회 개최 ▲독립기념관 및 서대문독립공원 유물전시회 등 독립운동가의 애국정신과 충절을 기리는 다양한 선양활동을 전개한다.

이로써 이 달의 독립운동가는 92년부터 14년간 총 168명이 선정됐다.

2005년도 이 달의 독립운동가 명단 및 공적은 다음과 같다.

1월 : 최용신 (崔容信. 1909. 8. 12 ~ 1935. 1. 23)
○ 국내항일운동가, 95년 애족장
○ 1928 농촌계몽운동에 투신
○ 1931 YWCA 파견교사(경기 화성)로 한국․산술․재봉등 학습
○ 1933 천곡학원 건립

2월: 최석순(崔碩淳, ~ 1925. 3.)
○ 만주방면 항일독립운동가, 95년 대통령장
○ 1919 대한독립단 집서지단장으로 활동
○ 1922 대한통의부 가담
○ 1923 참의부 참여
○ 1925 만주 집안현 고마령에서 국내진입작선 회의중 일경의 습격으로 순국

3월: 김복한(金福漢, 1860. 7. 24 ~ 1924. 3. 29)
○ 국내의병, 63년 독립장
○ 1905 을미의병을 일으켜 홍주성 진입 계획 추진
○ 1919 파리강화회의 독립청원서를 작성, 서명을 이유로 서대문혁무소에 수감되었다가 순국

4월: 李東輝(이동휘, 1873. 6. 20 ~ 1935. 1. 31)
○ 임시정부, 95년 대통령장
○ 1906 보창학교 설립, 대한자강회의 결성 등 구국계몽운동
○ 1911 105인 사건으로 피체
○ 1918 한인사회당을 조직하고 연해주에서 한인적위군을 편성 활동
○ 1919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에 취임
○ 1926 고려혁명당을 조직하여 민족해방운동 전개

5월: 한성수(韓聖洙, 1920. 8. 18 ~ 1945. 5. 13)
○ 광복군 활동, 77년 독립장
○ 1944 광복군 제3지대에서 무전통신작전 수행
○ 1945 남경혁무소에서 참수형

6월: 김동삼(金東三, 1878. 6 ~ 1937. 3.)
○ 통의부 활동, 62년 대통령장
○ 1907 협동중학교 설립
○ 1911 경학사 조직, 신흥강습소 설립
○ 1922 통의부 위원장
○ 1927 민족유일당촉진회 위원장겸 군민의회 위원장

7월: 채응언(蔡應彦, 1879. ~ 1915. 11. 4)
○ 국내 의병활동, 62년 독립장
○ 1908 황해 안평․수안 일본 헌병 분견소 습격
○ 1913 황해 대동․선암 일본 헌병 분견소 습격
○ 1915 평남 성천에서 게릴라전을 전개하며 군자금 모금
○ 1915 평양 혁무소에서 순국

8월: 안창호(安昌浩, 1878. 11 ~ 1938. 3. 1)
○ 임시정부, 62년 대한민국장
○ 1898 독립협회 가입, 만민공동회 개최
○ 1905 공립협회 창립, 공립신보 발행
○ 1907 신민회 조직, 대성학교 설립
○ 1912 센프란시스코에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조직
○ 1919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총장, 국무총리 서리
○ 1924 남경에 동명학원 설립
○ 1931, 흥사단보 발행, 교민단 심판원

9월: 조소앙(趙素昻, 1887. 4. 101958. 9. 10)
○ 임시정부, 89년 대한민국장
○ 1919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 1926 대한민국임시정부 외무총장
○ 1927 한국독립당 결성
○ 1937 대한민국임시정부 외교부장
○ 해방후 한독당 부위원장, 사회당수, 국회의원으로 활약

10월: 김좌진(金佐鎭, 1889. 11. 24 ~ 1930. 1. 24)
○ 광복군(북로군정서군), 62년 대한민국장
○ 1915 대한광복회 참여
○ 1920 청산리 전투, 대한독립군단 결성
○ 1927 신민부 집행위원장
○ 1929 한족총연합회 조직

11월: 황 현(黃 玹, 1855. 12. 11 ~ 1910. 9. 10)
○ 62년 독립장
○ 1894~1910 「매천야록」, 「오하기문」저술
○ 1905 중국으로 망명하여 국권회복운동 시도
○ 1910 순절

12월 : 이상설(李相卨, 1870. 12. 7 ~ 1917. 3. 2)
○ 국내항일운동가, 62년 대통령장
○ 1904 대한협동회 조직
○ 1905 을사조약 파기 상소
○ 1906 서전서숙 설립
○ 1907 헤이그 밀사
○ 1911 권업회 조직, 권업신문을 발행하여 독립사상 고취

웹사이트: http://www.mpva.go.kr

연락처

공보담당관실 2020-506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