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61주년, 독립운동가 313명 포상

서울--(뉴스와이어)--국가보훈처는 광복 61주년 광복절을 맞아 만주·노령지역의 무장투쟁가 박영(朴泳)선생을 비롯해 평남 강서에서 3·1운동을 전개하다 체포되어 옥중 순국한 고지형(高志亨) 선생, 국내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한 이재유(李載裕)선생, 여성 독립운동가로 최고령 생존자인 이효정(李孝貞)선생 등 313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포상한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의 훈격은 건국훈장 145명(독립장 3, 애국장 43, 애족장 99), 건국포장 47명, 대통령 표창 121명 등이며, 생존자는 2명이고, 여성도 2명이다.

이들의 훈장은 광복절 중앙경축식장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되는 광복절 경축식장에서, 해외거주자는 재외공관을 통해 본인과 유족에게 전수된다. 유족이 확인되지 않는 분의 훈장은 정부에서 보관한다.

이번 광복절 포상자 313명 중 232명은 정부에서 자료를 찾아 포상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순국선열의 날까지 총 500여명을 포상할 계획이다.

이번 광복절 계기 포상은 전문사료발굴분석단에서 1천 여건의 독립유공포상신청자에 대한 자료 분석과 보완을 통해 공적을 확인한 후, 독립유공자서훈공적심사위원회의 분과위원회와 제2심사위원회, 합동심사위원회 등 총 17차례에의 심도 있는 심사를 거쳐 포상자를 결정했다.

특히, 전문사료발굴분석단에서는 1907~1909년까지 일제가 의병을 탄압한 내용을 상부에 보고한「폭도에 관한 편책」등의 정보보고서에서 최성재 의병장등 21명의 공적을 발굴하였고, 재일조선인관계자료집성」등 일본지역 한인독립운동관련 자료에서 항일 노동운동을 전개하다 옥사한 이운수선생을 비롯한 14명의 일본지역 항일독립운동가 공적을 발굴해 이번에 포상하게 됐다.

또한, 경남 함안에서 3·1운동을 주도한 손종일 선생은 93년 손자가 포상신청을 하였으나 공적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없어 포상을 하지 못하고 지내오다 이번 수집한 자료인「수형인명표폐기목록」을 분석하다 징역 1년의 옥고를 치를 사실이 확인되어 10여년 만에 애족장을 추서받게 됐다.

이와 같이 이번에 국가보훈처에서 독립유공자를 발굴해 포상한 인원은 232명이며 이중 유족이나 후손을 찾아 행적 등 추가공적사항을 확인해 포상한 인원은 94명이다.

이로써 건국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은 분은 총 10,469명으로 대한민국장 30, 대통령장 93, 독립장 791, 애국장 3,304, 애족장 3,980, 건국포장 610, 대통령 표창 1,661명 등이다

앞으로 전문사료발굴·분석단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등 독립운동사료 소장기관과 협조하여 대대적인 사료발굴·분석 작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에 포상을 받는 분 중 주요훈격에 추서된 분들의 주요공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는 분은 3명으로

故 고지형(高志亨 1859 ~ 1927)선생은 북한지역 평남 강서군 독립만세운동을 지휘한 주모자로 1919년 3월 초 평남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에서 독립만세를 외치고 강서군 반석면 사천장터에서 사천헌병주재소를 습격해 일본 헌병 3명을 살해하고 주재소를 방화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1921년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1927년 옥중 순국했다.

故 박 영(朴 泳, 1887 ~ 1927)선생은 1920년대 초 만주·노령지역 무장독립군 조직을 이끈 대표적인 무장투쟁가로 중국 길림성 왕청현 등지에서 대한군무도독부 참모, 북로독군부 군무부장, 노령의 한국독립군단 무기구입 및 생도모집, 고려혁명군, 중국 만주의 백산무사단 부단장, 중국 광주의 황포군관학교 교관 등으로 활약하면서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故 이재유(李載裕, 1905 ~ 1944) 일제하 대표적인 노동운동독립운동가로 일본 동경에서 고려공산청년회에 가입해 활동하다 징역 3년 6월의 옥고를 치렀고, 출옥 후 경성트로이카를 결성해 파업 등 노동운동을 주도하다 1936년 체포되어 징역 6년을 언도받아 옥고를 치르고 1942년 형기가 만료되었으나 전향을 거부하여 출옥하지 못하고 1944년 옥중 순국했다.

▲ 러시아에서 출생한 한인 교포 2세로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는 故 金아파나시(1890~1938)선생은 러시아지역 독립운동의 지도적 인물로 1917년 노령 니콜리스크에서 한인 청년단체를 조직하고 全 시베리아대회 중앙위원회 비서로 활동하였으며 1919년 노령 블라디보스토크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고 상해 임정 국무총리를 지낸 이동휘 선생의 최측근으로 조선독립문제와 한인자치문제를 위해 활동했다. 1930년대 한인사회 최고의 지도자로 활동하다 소련공산당에 의해 간첩혐의로 1937년 총살됐다.

▲ 일제하 여성노동운동가인 생존 여성독립운동가 이효정(李孝貞 1913~생존)여사는 1920년 동덕여고보 재학 시 동맹휴학에 참여하였고 1933년 서울 종연방직 제사공장 파업에 참여하였으며 1935년 항일격문 배포와 동지규합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1936년 12월까지 1년여의 옥고를 겪어 건국포장을 수상하게 된다.

▲ 이외에 여공으로 ‘중일전쟁에서 일본이 패전한다’는 말을 유포하였다가 체포된 여성독립유공자 故 박재복여사(1918~1998)는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으며, 1944년 경북 경주군 소재 경주중학교에 재학 중 안동농림학교 학생들과 연계하여 항일비밀결사 明星會를 조직하여 항일의식을 함양하고 항일봉기를 계획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다 광복을 맞아 출옥한 생존 애국지사 채순봉 선생(1928~현재)은 대통령표창을 수상하게 된다.

제 61주년 광복절 계기 독립운동 포상자 명단


· 건국훈장 독립장(3)
고지형(高志亨, 3.1운동) 박 영(朴 泳, 만주방면) 이재유(李載裕, 국내항일)

· 건국훈장 애국장(43)
권태석(權泰錫, 국내항일) 김덕은(金德殷, 만주방면) 김도주(金道周 3.1운동)
김백용(金伯龍, 의 병) 김병삼(金秉三, 만주방면) 김아파나시( 노령방면)
김재명(金在明, 국내항일) 김종달(金鍾達, 의 병) 김준모(金濬模, 의 병)
김진선(金鎭先, 의 병) 김창식(金昌植, 의 병) 김철훈(金哲勳, 만주방면)
김춘배(金春培, 국내항일) 김춘식(金春植, 의 병) 김치원(金致元, 의 병)
김칠성(金七星, 의 병) 남상규(南相奎, 광복군) 노명이(盧明伊, 의 병)
서고락(徐高洛, 의 병) 오산세(吳示+示世 국내항일) 오오득(吳五得, 국내항일)
오주혁(吳周爀, 만주방면) 유기봉(兪基鳳, 만주방면) 유진구(柳震九, 노령방면)
이만석(李萬石, 의 병) 이수목(李守睦, 의 병) 이승호(李承浩, 국내항일)
이운수(李雲洙, 일본방면) 이윤례(李允禮, 의 병) 임성영(林聖永, 의 병)
장수봉(張守奉, 의 병) 장준이(張俊伊, 의 병) 장홍도(莊弘道, 의 병)
정도향(鄭道享, 의 병) 정세현(鄭世鉉, 의 병) 정휘세(鄭輝世, 일본방면)
조금동(曺今同, 일본방면) 조준용(趙俊容, 의 병) 주병록(朱丙錄, 만주방면)
최성재(崔性裁, 의 병) 한임길(韓林吉 의 병) 홍경칠(洪景七, 의 병)
홍부삼(洪夫三, 의 병)

· 건국훈장 애족장(99)
강규찬(姜奎燦, 3.1운동) 강유홍(姜有鴻 일본방면) 강자선(康子善, 3.1운동)
강창원(姜昌元, 3.1운동) 구순암(具順岩, 일본방면) 김경발(金景發, 3.1운동)
김관신(金觀新, 3.1운동) 김규성(金奎晟, 3.1운동) 김대현(金大鉉, 의 병)
김동현(金東鉉, 의 병) 김두갑(金斗甲, 일본방면) 김명수(金明秀, 만주방면)
김병주(金炳柱, 3·1운동) 김사진(金泗振, 3.1운동) 김성률(金聖律, 3.1운동)
김영만(金永萬, 3.1운동) 김용수(金龍洙, 3.1운동) 김응도(金應道, 3.1운동)
김익근(金益根, 3.1운동) 김정석(金廷奭, 3·1운동) 김창오(金昌五, 3.1운동)
김현수(金現洙, 3.1운동) 김희걸(金稀杰, 3·1운동) 김희룡(金希龍, 3.1운동)
김희봉(金喜奉, 일본방면) 노원장(盧元長, 3.1운동) 맹승재(孟升在, 국내항일)
문남일(文南一, 국내항일) 문동경(文同京, 국내항일) 민주혁(閔周爀, 3.1운동)
박봉수(朴奉洙, 3.1운동) 박세용(朴世用, 일본방면) 박양순(朴養淳, 3.1운동)
박영화(朴英華, 3.1운동) 박용의(朴容義, 3.1운동) 박재복(朴在福, 국내항일)
박정훈(朴貞薰, 3·1운동) 박태수(朴泰守, 3·1운동) 백정호(白鼎鎬, 3·1운동)
서진문(徐鎭文, 일본방면) 손종일(孫鍾一, 3·1운동) 송광웅(宋光雄, 일본방면)
송재홍(宋在洪, 일본방면) 신영화(申永和, 국내항일) 안경구(安敬九, 3·1운동)
안기석(安基錫, 국내항일) 여태주(呂太周, 3·1운동) 오태근(吳台根 3.1운동) 유근성(柳根成, 국내항일) 유선태(柳先泰, 3.1운동) 유시풍(劉時豊, 3.1운동) 윤문옥(尹文玉, 3·1운동) 윤정호(尹鼎浩, 3.1운동) 이규선(李圭璇, 3.1운동)
이남직(李南稙, 국내항일) 이상노(李祥老, 3.1운동) 이성초(李成初, 3.1운동)
이승준(李承駿, 국내항일) 이영섭(李永燮, 3.1운동) 이원선(李元先, 3.1운동)
이윤식(李潤植, 3.1운동) 이재경(李載景, 3.1운동) 이재관(李在觀, 3.1운동)
이태인(李台仁, 3.1운동) 임상규(林祥圭, 3.1운동) 임성운(任成云, 3.1운동)
장성도(張聖道, 3.1운동) 전성희(全聖熙, 3.1운동) 전창오(田昌五, 3.1운동)
정기수(鄭基洙, 3.1운동) 정덕원(鄭德源, 3.1운동) 정동원(鄭東源, 국내항일)
정수익(鄭秀益, 3.1운동) 정순옥(鄭順玉, 일본방면) 정순제(鄭淳悌, 국내항일)
정우생(鄭友生, 일본방면) 정원명(丁元明, 3.1운동) 정의찬(鄭義粲, 국내항일)
정이언(鄭理彦. 3.1운동) 정종주(鄭王+從柱, 국내항일) 정진하(鄭鎭河, 3.1운동)
정태술(鄭泰述, 일본방면) 조계성(趙桂成, 국내항일) 조광철(趙光喆, 3.1운동)
조동빈(趙東玭, 국내항일) 조병하(趙秉夏, 3.1운동) 조병학(趙秉學, 3.1운동)
조영우(趙泳祐, 일본방면) 주 영(朱 英, 3.1운동) 주재연(朱在年, 국내항일)
지용수(池龍洙, 국내항일) 차봉철(車奉哲, 3.1운동) 최경노(崔敬老, 임시정부)
최영기(崔永基, 3.1운동) 최용식(崔鎔植, 3.1운동) 최 진(崔 鎭 국내항일)
황성진(黃成王+眞, 3.1운동) 황원태(黃源泰, 학생운동) 황창섭(黃昌燮 국내항일)



· 건국포장(47)
김구현(金龜顯, 국내항일) 김달희(金達熙, 국내항일) 김선문(金先文, 만주방면)
김세환(金世煥, 학생운동) 김영두(金榮斗, 3.1운동) 김태권(金太權, 일본방면)
노인수(魯寅洙, 의 병) 문상흡(文相翕, 만주방면) 박맹종(朴孟鍾, 의 병)
배봉규(裵鳳圭, 의 병) 백태식(白泰植, 국내항일) 변성현(邊聖現, 국내항일)
선규명(宣圭明, 의 병) 송재락(宋在洛, 3.1운동) 송호완(宋鎬完, 3.1운동)
승계련(承啓璉, 만주방면) 신재의(辛在義, 의 병) 신정식(申鼎植, 3.1운동)
신태종(申泰鍾, 의 병) 안기환(安淇煥, 의 병) 안용봉(安龍鳳, 국내항일)
양동진(梁東鎭, 의 병) 양재동(梁在東, 의 병) 염규석(廉圭碩, 국내항일)
유기만(柳基萬, 국내항일) 윤원식(尹元植, 3.1운동) 이권재(李權載, 학생운동)
이승종(李承綜, 국내항일) 이재관(李載寬, 3.1운동) 이정환(李廷煥, 3.1운동)
이창희(李昌熙, 국내항일) 이춘호(李春浩, 3.1운동) 이효정(李孝貞, 국내항일)
임상덕(林相悳, 3.1운동) 전용헌(田溶憲, 국내항일) 정순우(鄭淳祐, 의 병)
정을현(鄭乙鉉, 의 병) 조기수(趙岐壽, 국내항일) 조영호(趙英浩, 3.1운동)
차경창(車敬昌, 3.1운동) 최기표(崔基杓, 의 병) 최동일(崔東一, 3.1운동)]
한명수(韓明洙, 3.1운동) 한영수(韓永洙, 3.1운동) 홍승한(洪承漢, 3.1운동)
황명률(黃明律, 3.1운동) 황부주(黃富周, 의 병)

· 대통령 표창(121)
강만억(姜萬億, 3.1운동) 강복이(姜福伊, 3.1운동) 강오룡(姜五龍, 3.1운동)
강철수(姜喆秀, 3.1운동) 강태일(姜泰一, 3.1운동) 강학삼(姜學三, 3.1운동)
고락서(高洛西, 3.1운동) 고제하(高濟夏, 학생운동) 곽기방(郭基方, 3.1운동)
권만석(權萬錫, 3.1운동) 권상용(權相龍, 3.1운동) 권작불(權作佛, 3.1운동)
권중우(權重隅, 3.1운동) 권중호(權重浩, 3.1운동) 권중호(權重鎬, 국내항일)
권태선(權泰璿, 3.1운동) 기형달(奇炯達, 3.1운동) 김갑손(金甲孫, 3.1운동)
김달식(金達植, 3.1운동) 김도봉(金道峰, 3.1운동) 김도학(金道學, 3.1운동)
김목덕(金木德, 3.1운동) 김병기(金炳基, 3.1운동) 김병련(金炳鍊, 3.1운동)
김병률(金秉律, 3.1운동) 김병진(金秉軫, 3.1운동) 김봉윤(金奉允, 3.1운동)
김순근(金順根, 3.1운동) 김승원(金承元, 3.1운동) 김영운(金泳運, 3.1운동) 김용옥(金用玉, 3.1운동) 김윤배(金允培, 3.1운동) 김재홍(金在泓, 국내항일)
김종석(金宗錫, 국내항일) 김태성(金泰成, 3.1운동) 김팔수(金八洙, 3.1운동)
김하영(金夏榮, 3.1운동) 김화섭(金和攝, 국내항일) 나일진(羅一鎭, 3.1운동)
남계복(南癸福, 국내항일) 남계홍(南啓弘, 3.1운동) 노규현(盧奎鉉, 3.1운동)
노병주(盧炳柱, 국내항일) 민영로(閔泳魯, 국내항일) 박규수(朴珪洙, 3.1운동)
박 기(朴 璣, 3.1운동) 박남성(朴南誠, 국내항일) 박달성(朴達成, 3.1운동)
박두옥(朴斗玉, 국내항일) 박석몽(朴石夢, 3.1운동) 박수경( 朴受景, 3.1운동)
박영모(朴永模, 국내항일) 박영순(朴英詢, 3.1운동) 박오기(朴伍基, 3.1운동)
박태선(朴泰善, 3.1운동) 박태안(朴泰安, 3.1운동) 배두운(裵斗運, 국내항일)
복기견(卜箕堅, 3.1운동) 서창인(徐昌仁, 3.1운동) 성도일(成道一, 3.1운동)
손태옥(孫太玉, 3.1운동) 송기주(宋基柱, 3.1운동) 송내경(宋내景, 3.1운동)
신동환(申東煥, 국내항일) 신두환(申斗煥, 국내항일) 신상선(申相宣, 국내항일)
신태근(申泰根, 3.1운동) 안만길(安萬吉, 3.1운동) 양재학(楊在學, 3.1운동)
오형근(吳亨根, 3.1운동) 우보현(禹輔鉉, 3.1운동) 우성환(禹聖煥, 3.1운동)
유진태(兪鎭台, 3.1운동) 윤자훈(尹滋勳, 3.1운동) 윤주식(尹周植, 3.1운동)
윤철선(尹喆善, 3.1운동) 이규영(李奎永, 3.1운동) 이도식(李道植, 3.1운동)
이문일(李文鎰, 3.1운동) 이병용(李炳用, 3.1운동) 이복이(李卜伊, 3.1운동)
이석인(李錫仁, 3.1운동) 이시용(李時庸, 3.1운동) 이여종(李呂鍾, 3.1운동)
이용헌(李容憲, 3.1운동) 이윤성(李潤成, 3.1운동) 이종협(李鍾協, 3.1운동)
이준형(李俊衡, 3.1운동) 임광호(林光鎬, 3.1운동) 임준호(林俊鎬, 3.1운동)
임한영(林漢榮, 3.1운동) 장경일(張京日, 3.1운동) 장연실(張然實, 3.1운동)
장원용(莊元瑢, 임시정부) 장흥도(張興道, 3.1운동) 전선근(全善根, 3.1운동)
정공출(鄭公出, 3.1운동) 정만도(鄭萬道, 3.1운동) 정만성(鄭萬成. 3.1운동)
정맹일(鄭孟逸, 국내항일) 정운조(鄭云朝, 3.1운동) 정원필(鄭元弼, 3.1운동) 정재철(鄭在轍, 3.1운동) 조덕인(趙德仁, 3.1운동) 조석권(趙錫權, 3.1운동)
조영섭(曺永涉, 3.1운동) 조종우(趙鍾祐, 3.1운동) 조창석(趙昌石, 3.1운동)
주남호(朱南浩, 3.1운동) 채동진(蔡東鎭, 3.1운동) 채순봉(蔡順鳳, 생존, 학생운동)
최순우(崔淳祐, 3.1운동) 최응순(崔應洵, 국내항일) 추병륜(秋秉倫 , 3.1운동)
하재연(河在衍, 3.1운동), 한홍준(韓弘俊, 3.1운동) 허종준(許宗俊, 3.1운동)
허희중(許希中, 3.1운동) 황도석(黃道石, 3.1운동) 황승오(黃承吾, 3.1운동)
황지수(黃芝秀, 3.1운동)

웹사이트: http://www.mpva.go.kr

연락처

공훈심사과 02-2020-523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