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대학교 제 5대 김재현 총장 취임
김재현 총장은 지난 2월 22일 “포스트 공주”라는 캐치프레이즈아래 새로운 교명과 제 2의 창학, 국립대 5위권도약, 국내 최고 신모델 산학협력 중심대학으로의 발전이라는 3대 경영비전을 제시하여 교수와 직원 60%이상의 지지로 공주대학교 제 5대 총장임용후보자로 선출되었다.
1991년 종합대학교로 승격한 공주대학교는 예산농업대학, 공주문화대학, 천안공과대학과 통합하여 15년 만에 4개 캠퍼스, 6개 단과대학, 7개 대학원, 재학생 18,000명으로 구성된 자타가 공인하는 충청남도의 거점대학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대외적으로 입학자원의 감소, 국립대학 법인화 정책 추진 그리고 내적으로 4개 캠퍼스에 대한 특성화 전략 부재, 대학 운영시스템의 비효율성 등은 그 동안 양적 성장에 대학발전의 중심이 쏠려 있던 공주대학교에게는 위기요인이라는 문제인식이 일고 있었다. 그러나 김재현 총장은 이러한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아, 변화와 개혁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제2의 창학을 통한 신개념의 명문 국립대학으로의 도약하기 위한 경영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구성원들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얻어 총장임용후보자로 당선되었다.
김재현 총장은 제2의 창학을 새로운 교명으로의 변경으로부터 시작됨을 강조하고 있다. 교명변경은 지난 15년 동안 4개 대학의 통합과정에서 꾸준히 제기된 문제이며, 전 구성원뿐만 아니라 공주·예산· 천안 지역사회와 공주대학교간의 동질감을 높이고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세계로 웅비하는 새로운 명문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따라서 취임 후 1개월 이내 교명변경 작업에 착수하여 2007학년도 입시에 새로운 교명을 사용할 계획이다.
교명변경과 함께 캠퍼스별 특성화와 국립대 5위권의 실용적 연구중심대학으로의 발전을 통해 제2의 창학을 완성할 계획이다. 우선 캠퍼스별 특성화는 공주캠퍼스를 한국문화·교육·의학분야의 세계화된 캠퍼스로, 천안캠퍼스를 기업주도형 산·학·연·관 융합형 모델의 특성화 대학으로, 예산캠퍼스를 농생명(BT)분야의 동북아 중심대학으로 발전한다는 전략을 담고 있다.
공주 캠퍼스는 “한민족교육메카”로 특성화하고,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공주시를 “한민족교육특구”의 교육도시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마을의 건립과 남북한 교육연구센터, 해외동포 교육연구센터, 한민족 문화교류지원센터, 국제외국어교육센터 등의 설치를 추진하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등 교육관련 기관 등을 유치할 계획이다.
천안 캠퍼스의 특성화는 현 캠퍼스에 충분한 연구 및 교육공간을 조속히 확보하면서 50만평의 새로운 부지를 마련하여 이공계 중심의 새로운 종합캠퍼스 구축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새롭게 구축된 캠퍼스에는 R&D/Business형 산·학·연·관 협력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실용연구중심의 Intelligent 캠퍼스로 특성화할 계획이다. 그리고 자연대학과 인문사회과학분야의 일부학문분야를 이전시켜 천안-아산 서해안 산업벨트의 중추적 Think Tank로서, 포스트-공주시대에 대학의 성장 동력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학의 중심캠퍼스로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예산 캠퍼스는 정부 및 지자체의 농생명 관련 기관의 유치, 수의학과 첨단 농생명 관련 학과의 신설, 각종 연구센터 및 교육센터의 유치를 통해 “포스트 수원시”로서 국가 농생명기술 중심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특성화할 계획이다. 그리고 제3세계 농업국가의 농생명 관련기관과 교류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외국인 학생 및 기술훈련생을 적극 유치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동북아권 농생명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캠퍼스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그리고 국립대 5위권 실용적 연구중심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3개 이상의 STAR-Program을 선정하여 교수정원의 별도 배정, 행·재정 지원확대, 독립채산제 실시 및 독자적인 인센티브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그리고 대학원 활성화 및 학제간 협력시스템, 연구지원 시스템 개선, 연구 인센티브의 확대 및 여교수 및 기초학문에 대한 연구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재현 총장은 이와 같은 3대 경영비전을 통해 경쟁력있는 유망학문분야의 신설 및 개편, Blue Ocean 학문구조로 개편, 현장 밀착형 산·학·연·관 협력체계의 구축, 세계적 수준의 대학 지식기반의 구축, 국제교류의 활성화 및 교수·연구 부문의 적극 지원 등의 전략도 마련하고 있다.
이를 위해 김재현 총장은 공주대 구성원들에게는 변화와 혁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충남도민들에게는 이해와 협조를 부탁하면서 서로 상생하기 위한 협력체계의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ngju.ac.kr
연락처
정재희 이메일 보내기
-
2008년 10월 28일 1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