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6000m급 심해 무인잠수정 ‘해미래’ 개발

거제--(뉴스와이어)--우리나라가 미국, 일본, 프랑스에 이어 세계 네 번째로 심해 6000m에서 탐사작업이 가능한 무인잠수정을 개발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2001년부터 6년간 120여억원을 투입해 한국해양연구원과 함께 6000m급 심해 무인잠수정을 개발해 3일 오후 3시 한국해양연구원 거제 장목시험장서 진수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무인잠수정 시제품잠수정 ‘해미래’와 잠수정 활동을 지원하는 진수장치 ‘해누비’로 구성된 이 무인잠수정은 그동안 성능시험과 운용소프웨어 시험을 모두 마치고 이날 모습을 드러냈다.

이 잠수정은 올 하반기부터 태평양 심해에 진출해 본격 탐사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무인잠수정 ‘해미래’는 로봇 팔과 각종 계측장비, 수중카메라 및 조명장치 등을 부착하고 심해저에 부존된 자원탐사와 생물연구와 같은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해미래’는 6개의 전동추진기를 통해 앞뒤, 좌우, 상하운행이 가능하며 ±5m 오참범위에서 목표물을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적장치(USBL) 등을 장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심해 연구수행에 필수적인 수단을 이번에 우리기술로 확보함으로써 해양과학기술 선진화의 서막을 올리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해양부는 이번 잠수정 개발과정에서 확보한 잠수정 본체, 작업로봇 제작기술과 복합항법시스템 등을 국내외 업체들에 이전, 상업화를 추진함으로써 산업차원에서 해양탐사장비 부문을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탐사 데이터 실시간 전송시스템특히 상용화된 2500m급의 경우 대당 50~60억원에 판매되고 있으나 이번에 개발한 잠수정은 독자적으로 설계하고 운용소프트웨어를 100% 국산화함으로써 외국산의 60% 가격 수준에서 제작이 가능해 세계 심해 무인잠수정 시장에서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앞으로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을 보유한 심해 지능형 자율무인잠수정(AUV)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심해 잠수정은 심해저 자원탐사 등 과학목적 이외에 해저 구조물 유지보수와 같은 상업목적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1조원대의 시장이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양부는 올 하반기부터 이 잠수정을 활용해 태평양 지역에 확보해둔 클래리온-클립퍼톤(Clarion-Clipperton)광구(수심 4800~5200m)를 비롯한 심해저의 광물자원탐사와 더불어 동해 가스하이드레이트 분포탐사, 냉수분출구 등에 대한 생태환경 탐사 및 신물질 개발을 위한 심해생물자원 탐사 등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해양과학기술 선진국들도 일찍이 심해 잠수정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독자적인 기술 개발을 추진해 오고 있다.

미국의 경우 우즈홀 해양과학연구소(WHOI)을 중심으로 90년대 초6000m급 심해 무인잠수정‘제이슨’을 개발했으며, 일본의 경우 97년도에 해양과학연구센터(JAMSTEC)에서 1만1000m급 무인잠수정 ‘카이코’를 개발했다.

이날 진수식에는 강무현 해양부 차관과 한국해양연구원의 염기대 원장을 비롯해 산·학·연 관련 전문가와 지역인사 등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개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1973년 설립된 이래, 국내 유일의 종합해양연구기관으로서 국가 해양정책의 수립과 해양개발 추진에 필요한 해양과학기술 연구개발의 중추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경기 안산에 본원을 두고,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경남 거제에 남해연구소, 경북 울진에 동해연구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부설기관으로 극지연구소가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rdi.re.kr

연락처

한국해양연구원 안산 본원 성과확산홍보팀 팀장 강현주 031-400-6070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대덕분소) 기획팀 팀장 박수인 042-868-765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