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소설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의 싸인
문제의 고문서는 임취정(任就正)이 아들 임흥후(任興後)가 1616년 8월 12일 날 문과에 급제하자 만들어 준 성문(成文)인데, 이 고문서는 당시의 전지 두 장을 연결하여 만든 108×150cm의 크기로서, 이는 종이가 귀하였던 임진왜란 직후의 문서로는 상당히 큰 크기이다.
이 고문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임취정이 성문을 짓고 쓰고, 임취정(좌승지 ①)을 비롯하여 당대의 명인인 민몽룡(우참찬 ②), 이상의(세자우빈객 ③), 이○○(우부빈객 ④), 이○○(우참찬 ⑤), 이병(완창군 ⑥), 이○○(지제교 ⑦), 정광성(공조참의 ⑧), 류희량(예조참의 ⑨), 허균(형조판서 ⑩), 박자흥(형조참의 ⑪), 유충립(사복사정 ⑫), 배대유(지제교 ⑬) 등 13인이 자필로 직위와 이름을 쓰고 수결이나 화압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고문서는 당대에 유명하였던 13인의 필체를 감상할 수 있는 매우 보기 드문 예(例)의 문화재로 평가된다.
고려미술연구소 개요
고려미술연구소는 미술과 문화재를 연구하는 사설 연구소이다
웹사이트: http://kr.blog.yahoo.com/onekorea
연락처
고려미술연구소
-
2008년 6월 9일 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