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폐기물 해양투기반대 캠페인 진행

서울--(뉴스와이어)--환경운동연합은 정부의 해양투기에 대한 종합대책(2010년까지 해양투기량 50%까지 단계적 감소)이 문제의 심각성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고 해양투기를 조속히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준비합니다.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의 캠페인 이후 해양수산부를 방문하여 항의서한을 전달하고 해양보호의 1차적인 책임부서인 해양수산부의 적극적인 문제해결활동을 촉구할 예정입니다. 이어 과천 정부2청사로 이동하여 환경부를 방문 음식폐기물과 분뇨 및 하수처리장과 폐수처리장의 오니 등 환경부가 책임지고 있는 폐기물들의 해양투기문제에 대해 지적하고 조속한 대책마련을 촉구합니다. 농림부의 경우 축산폐수문제를 산업자원부의 경우 공장폐수 및 폐수처리장으로부터의 오니 등의 해양투기가 야기하는 해양오염과 수산물오염문제를 전달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하게 됩니다.

다음 그래프들은 환경운동연합 해양투기대책회의가 파악한 전체 해양투기폐기물 중 발생원별 비율입니다(2004년도 기준). 이들 발생원별 비율에 따라 농림부(축산폐수), 환경부(공장폐수, 분뇨, 하수오니, 식음료제조폐수, 음식물폐수 등), 산업자원부(공장폐수), 해양수산부(준설토, 수산물가공잔재물-기타) 등 중앙부처와 각 자치단체(축산폐수, 분뇨, 하수오니, 음식물폐수, 공장폐수 등)가 폐기물의 발생과 처리에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중 음식물폐수는 2004년 3월부터 시행된 직매립금지조치에 따라 2005년에는 해양투기량이 141만7천 톤으로 2004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 해양투기대책회의는 해양투기 폐기물의 발생원에 따른 총량과 독성비중에 의거하여 정부의 각 부처와 자치단체에 책임을 묻고 대책을 촉구할 계획입니다.

또한 정부가 제시하는 자료에는 해양투기 선박이 출입하는 부두가 인천,군산,부산,마산 등 몇 개에 불과하지만 환경운동연합 해양투기대책회의가 파악한 바로 전국 10여 곳 이상의 항구에서 해양투기 선박들이 출입하는 부두가 운영 중에 있습니다.

이번 캠페인은 바다생태계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환경운동연합의 전국 주요 조직들이 공동으로 함께합니다. 특히, 해양투기선박 부두가 가동중인 해안지역 소재 지역조직(부산환경연합, 포항환경연합, 인천환경연합,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등)과 오폐수 오니와 축산폐수의 해양투기비율이 매우 높은 지방지치단체의 지역조직(대전환경운동연합, 서울환경운동연합 등)과 전문기관인 시민환경연구소, 함께사는길 등이 같이합니다. 캠페인 참가예정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윤준하
포항환경운동연합 의장 강호철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이성근, 해양담당부장 손희정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 윤미숙
인천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조강희
울산환경연합 사무국장 이규형
서울환경운동연합 국장 이지현
대전환경운동연합 연구원 길복종(시민환경기술센터)
시민환경연구소 기획실장 최예용, 연구원 백명수, 간사 최은영
함께사는길 조수자
중앙환경운동연합 국장 서토덕

환경운동연합 해양투기대책회의는 정부가 해양투기를 중단하고 범국민적인 폐기물줄이기 캠페인 등을 통한 적극적인 환경대책을 내놓을 때까지 지속적인 운동을 추진합니다.

환경운동연합 개요
환경보전을 위한 교육, 홍보, 캠페인, 정책제안 등의 활동을 하는 환경단체

웹사이트: http://www.kfem.or.kr

연락처

환경운동연합 명호 부장 02-735-7000, 011-9116-808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