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데마 피게, 발레 드 주의 하늘을 연상시키는 새로운 세라믹 색조 공개

르 브라쉬, 스위스--(뉴스와이어)--스위스 고급 시계 제조사 오데마 피게(Audemars Piguet)가 1972년에 개발해 최초의 로열 오크(모델 5402)의 다이얼을 장식하기 위해 사용된 상징적인 ‘블루 뉘, 뉘아주 50(Bleu Nuit, Nuage 50)’ 색상에서 영감을 얻은 새로운 세라믹 색조를 공개한다.

여러 세대의 시계 제작자들에게 창조성의 원천이 된 발레 드 주(Vallée de Joux) 밤하늘의 독특한 광채에서 가져온 이 깊은 푸른색은 이제 세라믹에 적용돼 로열 오크(Royal Oak)와 로열 오크 오프쇼어(Royal Oak Offshore) 컬렉션의 세 가지 모델을 장식한다. 수년에 걸쳐 개발된 이 소재는 시계의 모든 부품에서 균일한 색상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 세 가지 시계는 150년 전 오데마 피게가 설립된 르 브라쉬 지역에 대해 경의를 표하며, 디자인과 소재 측면에서 혁신을 향한 매뉴팩처의 끊임없는 탐구를 보여준다.

하늘에서 영감을 얻다

시간 측정은 시계 제작자들이 정확성을 향해 탐구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방향을 제시해준 천문 관측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시계 제작자들은 하늘을 바라보며 수세기 동안 별과 달의 움직임을 관찰해 이를 창작물에 담아내고자 했다. 청명한 것으로 유명한 발레 드 주의 밤하늘은 18세기부터 여러 세대의 시계 제작자들에게 영감을 줘 세계에서 가장 명성 높은 일부 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촉진했다.

천체의 움직임을 넘어 이 지역의 맑은 밤하늘의 색채 또한 오데마 피게 장인들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자극했다. 이 짙푸른 색조에서 영감을 받아 제랄드 젠타(Gérald Genta)는 1972년 최초의 로열 오크(모델 5402)의 다이얼에 이 색조를 재현했다. 당시 제네바의 다이얼 제조사 슈테른(Stern)은 보호용 광택제(Zapon (자폰)이라고 불림)에 검은색 안료 n°50을 첨가해 ‘블루 뉘, 뉘아주 50’ 색상을 개발했다. ‘구름’ 효과는 광택제액에 소량의 검은색 안료를 부으면 발생하는 화학 반응에서 비롯된다.

이 블루 색상을 재현하는 것은 복잡한 과정으로, 그 이유는 전기 분해 도금욕(galvanic bath)의 지속 시간과 온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오늘날 ‘블루 뉘, 뉘아주 50’ 다이얼의 균일한 색상은 물리적 기상 증착(PVD, Physical Vapour Deposition) 공정을 통해 얻는다. 공정의 복잡성 때문이든, 최초의 로열 오크 모델을 둘러싼 뜨거운 관심 때문이든 ‘블루 뉘, 뉘아주 50’ 색조는 그 이후로 시계 자체만큼이나 상징적인 것이 됐다.

오데마 피게 최고 경영자 일라리아 레스타(Ilaria Resta)는 “발레 드 주의 하늘은 오데마 피게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 브랜드의 시그니처 요소 중 하나인 ‘블루 뉘, 뉘아주 50’ 색상에 영감을 줬다. 이 새로운 세라믹의 출시로 발레 드 주 지역과 장인의 뛰어난 재능, 그리고 혁신에 대한 우리의 지칠 줄 모르는 탐구 정신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세라믹, 전통적 노하우와 최첨단 기술의 만남

‘블루 뉘, 뉘아주 50’ 세라믹이 기존 컬렉션의 블랙, 일렉트릭 블루, 그린, 브라운 색상의 세라믹에 합류하며 소재와 디자인 측면에서 매뉴팩처의 지속적인 혁신 전통을 더욱 발전시킨다.

가볍고 긁힘에 강하지만 극도로 단단해 가공이 까다로운 세라믹은 1985년부터 오데마 피게에서 선보이는 제품의 소재로 사용됐다. 세라믹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소재 중 하나로, 실용적인 목적으로 도자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됐던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이후로 세라믹은 눈부신 진화를 거쳐 예술품과 장식품을 만들 수 있게 됐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내구성이 내성이 강화됐다. 세라믹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띠며 중국에서는 자기, 이탈리아나 프랑스에서는 토기, 이슬람 전통에서는 유약을 바른 형태로 발전했다. 산업혁명은 세라믹을 새로운 혁신 시대로 이끌었고, 세라믹의 연속 생산이 가능하게 됐다. 이 소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결국 획기적인 특성을 지닌 세라믹의 개발로 이어지고, 매일 새로운 응용 분야를 개척했다. 그 결과로 건설, 항공, 전자, 의학, 통신, 로봇 공학, 시계 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세라믹 소재를 도입한다.

‘블루 뉘, 뉘아주 50’ 색조를 세라믹에 적용하기 위해 시계 전체에 균일한 색상을 구현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수년간의 개발이 필요했다. 각 시계 부품은 가공, 소결, 마감을 비롯한 수많은 생산 단계를 거친다. 마지막 단계는 오데마 피게 장인들의 극도로 세심한 주의와 숙련된 기량으로 수작업으로 진행되며, 이들은 세라믹 부품의 단단하고 깨지기 쉬운 성질에도 불구하고 귀금속과 동일한 고급 수준의 마감을 부여한다. 유광 연마한 표면과 새틴 브러시 마감 처리한 표면이 번갈아 들며 빛의 향연을 펼쳐 색상의 깊이를 한층 더 돋보이게 하고, 로열 오크와 로열 오크 오프쇼어 케이스의 다면적 구조를 강조한다. 첨단 가공 기술과 전통적인 수작업 마감을 결합한 이 독특한 소재는 광범위한 현대 시계 제작 기술을 집약한다.

티보 르 로아레르 오데마 피게 연구 책임자는 “오데마 피게는 세라믹 분야의 개발과 혁신을 프로젝트의 핵심으로 여기며, 특히 모든 시계 부품에 상징적인 ‘블루 뉘, 뉘아주 50’ 색조를 입힘으로써 색상 측면에서 전문 기술의 한계를 계속 넓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 가지 ‘블루 뉘, 뉘아주 50’ 모델

41mm 로열 오크 더블 밸런스 휠 오픈워크(Royal Oak Double Balance Wheel Openworked) 모델은 전체적으로 ‘블루 뉘, 뉘아주 50’ 세라믹으로 제작됐으며, 그 색조는 내부 베젤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단색의 미학은 사파이어 크리스털 아래 다이얼 높이에 위치한 로듐 색상의 오픈워크 무브먼트를 돋보이게 하며, 핸드와 아워 마커와 같은 핑크 골드 세부 장식으로 강화된 인상적인 시각적 대비를 만들어낸다.

셀프와인딩 칼리버 3132로 구동되는 이 시계는 2016년 AP가 특허를 받은 더블 밸런스 휠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시계에 향상된 정밀도와 안정성을 제공한다. 동일한 축에서 조립된 두 개의 밸런스 휠과 두 개의 헤어스프링의 통합으로 시스템이 완벽하게 동기화돼 진동한다. 다이얼과 케이스백 모두에서 보이는 메커니즘은 시계의 박동하는 심장을 마치 특권을 지닌 듯 볼 수 있게 하며, 오픈워크 브리지는 기어 트레인의 일부 부품을 드러낸다. 컴퓨터 수치 제어(CNC) 가공과 같은 현대 기술과 유광 연마한 V 형태의 모서리각을 포함한 수작업 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이 시계는 오데마 피게의 타협 없는 정신을 잘 보여준다.

42mm 로열 오크 오프쇼어 셀프와인딩 크로노그래프(Royal Oak Offshore Selfwinding Chronograph)는 더욱 스포티한 단색의 미학을 선보인다. 이 모델의 세라믹 부품은 내부 베젤, 메가 타피스리(Méga Tapisserie) 다이얼, 크로노그래프 카운터의 ‘블루 뉘, 뉘아주 50’ 색상을 반영한다. 균일한 미학은 베젤을 강조하는 여덟 개의 화이트 골드 육각 나사와 티타늄 크라운 칩, 케이스백에 의해 미묘하게 대비를 이룬다. 이 요소들을 보완하는 발광 18캐럿 화이트 골드 핸드와 아워 마커가 가독성을 높여준다. 이 핸드와 아워 마커가 AP 모노그램과 마찬가지로 다이얼의 모티프에서 두드러지는 한편, 크로노그래프 표시부, 타키미터(tachymeter) 눈금, 날짜 표시부는 블루 색상의 바탕에 흰색으로 나타난다. 크로노그래프 카운터는 컬렉션의 상징적인 수직 정렬을 유지하며, 12시 방향에 시, 9시 방향에 분, 6시 방향에 스몰 세컨드를 표시한다.

이 모델과 함께 컬렉션은 또한 완전히 새로운 세라믹 브레이슬릿을 선보인다. 브레이슬릿의 스터드와 링크를 연결하는 핀이 이제 우아한 연출을 위해 완벽하게 통합됐다. 시계는 칼럼 휠과 플라이백 기능을 갖춘 통합형 셀프와인딩 크로노그래프 칼리버 4404의 리듬에 맞춰 박동하며, 이를 통해 크로노그래프를 먼저 멈추거나 재설정하지 않고도 즉시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사파이어 케이스백은 무브먼트의 세련된 장식과 전용 핑크 골드 진동 추를 드러내는 것 외에도 칼럼 휠의 내부 작동을 특별하게 보여주어 심미적 세련됨과 시계 제작의 우수성을 하나로 모았다.

마지막으로 43mm 로열 오크 오프쇼어 셀프와인딩 크로노그래프(Royal Oak Offshore Selfwinding Chronograph)는 베젤, 푸시피스, 크라운에 스테인리스 스틸과 ‘블루 뉘, 뉘아주 50’ 세라믹을 결합한 두 가지 색상으로 된 디자인을 자랑하며, 다이얼까지 이어지는 강렬한 색상 대비를 선사한다. ‘블루 뉘 뉘아주 50’ 메가 타피스리(Méga Tapisserie) 무늬가 시계의 견고한 실루엣을 강조하며, 야광 물질을 채운 18캐럿 핸드와 아워 마커를 위한 완벽한 배경이 된다. 크로노그래프 표시부와 타키미터 눈금은 최적의 가독성을 제공하기 위해 흰색으로 인쇄됐다.

칼리버 4401로 구동되는 이 시계는 9시 방향의 분 카운터, 3시 방향의 시 카운터, 6시 방향의 스몰 세컨드 카운터를 갖추고 있다. 모든 카운터는 더 밝은 블루 색상으로 표현돼 가독성과 대비를 높이는 한편, 화이트 골드 AP 모노그램은 12시 방향에 표시된다. 케이스백의 사파이어 크리스털은 플라이백 크로노그래프 무브먼트의 세련된 장식과 더불어 로듐 색상의 22캐럿 핑크 골드 진동 추를 드러낸다. 세라믹의 색상과 조화를 이루는 질감을 살린 송아지 가죽 스트랩이 장착된 이 모델은 교체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컬렉션의 스포티한 정체성을 강조하는 블루 러버 스트랩이 추가로 제공된다.

오데마 피게는 새로운 ‘블루 뉘, 뉘아주 50’ 세라믹을 출시하면서 과거와 미래를 잇는 새로운 연결고리를 만들어 오데마 피게의 역사를 형성해 온 인재들과 150년 동안 회사의 터전이 되어 온 발레 드 주에 경의를 표한다.

오데마 피게 소개

오데마 피게는 오늘날까지도 창립자인 오데마 및 피게 가문이 운영하는 가장 유서 깊은 고급 시계 제조사다. 매뉴팩처는 1875년부터 르 브라쉬를 기반으로 수 세대에 걸쳐 재능 있는 장인들을 양성해 오고 있다. 이들은 새로운 기량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노하우를 폭넓게 확장해 혁신적인 트렌드를 이끌어 나간다. 스위스 쥐라의 중심부에 자리한 발레 드 주에서 오데마 피게는 오랜 노하우와 미래지향적인 정신을 증명하는 수많은 걸작을 탄생시킨다. 오데마 피게는 가능성의 한계를 뛰어넘어 여러 창조적 세계를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지평을 탐구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로 가득한 커뮤니티를 창조한다.

웹사이트: https://www.audemarspiguet.com/com/en/ho...

연락처

오데마 피게 홍보대행
더 레이어
02-545-3934

기샛별나 과장
이메일 보내기

김다솜 대리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