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전심수로 전해진 산조의 가치와 아름다움… 서울돈화문국악당 대표 레퍼토리 2025 ‘산조대전’ 공연
산조의 음악적 가치를 조명하는 서울돈화문국악당 대표 레퍼토리
현시대를 대표하는 28명의 예인들의 공력이 깃든 연주와 산조의 선율
공연부터 포럼, 마스터 클래스까지… 다채로운 구성으로 즐기는 2025 ‘산조대전’
흩을 산(散), 고를 조(調)를 붙여 흩어진 가락 또는 허튼가락이라 일컫는 ‘산조’는 민속악에 뿌리를 둔 대표적인 기악 독주곡으로, 연주자와 고수가 무대에 등장해 장단의 틀에 맞춰 연주하는 형태로 연주자의 기량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곡이다. 2021년 처음 선보인 이후 5회차를 맞이한 ‘산조대전’은 다양한 출연진과 유파를 선보여온 서울돈화문국악당의 대표 레퍼토리로, 올해에는 유파별 산조의 계승을 이어가는 28명의 예인들이 관객들과 만난다.
3월 30일까지 진행되는 2025 서울돈화문국악당 기획공연 ‘산조대전’에서는 연주자의 공력이 고스란히 녹아든 무대를 볼 수 있다. 2025 ‘산조대전’의 첫 포문을 여는 무대에는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김은수 부수석(한갑득류 거문고산조), 고령 전국우륵가야금경연대회 대통령상을 수상한 유희정(함동정월류 가야금산조), 서울대학교 국악과 김경아 교수(박범훈류 피리산조)가 오른다. 이외에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한민택 지도단원(거문고, 3.14.),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곽은아 학장(가야금, 3.28.) 등 민속악의 정수를 선보일 연주자들의 무대를 자연 음향 공간인 서울돈화문국악당에서 감상할 수 있다.
산조를 무대에서 만나는 시간 외에도 ‘산조대전’ 기간 동안 산조와 관련된 특별한 프로그램이 구성돼 있다. 3월 12일(수) 오후 2시에는 산조의 전통과 확장 가능성에 관심 있는 국악 애호가 및 전공자를 대상으로 20명의 신청자를 모집해 ‘포럼: 산조의 경계를 그려보다’가 진행될 예정이다. 3월 29일(토), 3월 30일(일) 오후 2시에는 국악계 대표적 명인 지순자(3.29.)와 전남대학교 국악학과 김상연 교수(3.30.)에게 산조에 관해 배워볼 수 있는 ‘마스터 클래스’도 준비돼 있다. 마스터 클래스는 국악 전공자를 대상으로 10명의 신청자를 모집해 진행되며, 두 프로그램은 모두 무료로 참여 가능하다.
2025 ‘산조대전’의 예술감독을 맡은 이태백은 “각기 다른 나무들이 모여 숲을 이루듯 여러 연주자의 산조가 모여 하나의 숲인 ‘산조대전’을 만든다. 산조가 들려주는 삶의 기억과 그 울림을 통해 우리의 전통음악이 가지는 깊이를 느끼고, 그 소중함을 함께 간직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5년 서울돈화문국악당의 두 번째 기획공연 ‘산조대전’은 3월 12일 포럼을 시작으로 3월 13일부터 30일까지 목·금요일 오후 7시 30분, 토·일요일 오후 5시에 공연된다. 티켓은 전석 2만원이며, 2021~2024 ‘산조대전’ 재관람 관객과 뱀띠해 출생자는 40% 할인된 금액으로 상시 예매가 가능하다. 예매 및 자세한 내용 확인은 서울돈화문국악당 누리집(www.sdtt.or.kr)을 통해 가능하고, 회차별 잔여 티켓이 있는 경우 공연 당일 현장 매표 후 관람할 수 있다. 기타 문의사항은 서울돈화문국악당으로 연락하면 된다.
컬처브릿지 서울돈화문국악당 소개
서울돈화문국악당은 창덕궁 일대의 전통문화를 되살리기 위해 2016년 개관한 국악 전문 공연장이다. 서울시는 창덕궁 맞은편 주유소 부지를 매입해 이 공연장을 조성했으며, 현재 컬처브릿지가 위탁 운영 중이다. 공연장은 전통 한옥과 현대 건축 양식이 조화를 이루며, 자연음향을 활용한 실내 공연장과 야외 국악마당으로 구성돼 있다. 관객은 이곳에서 연주자와 함께 호흡하며 우리 전통음악의 매력을 체험할 수 있다.
첨부자료:
[보도자료]서울돈화문국악당_기획공연-2025 산조대전(3.12-3.30).hwp
보도자료 다운로드: https://bit.ly/4hOeM8r
웹사이트: https://sdtt.or.kr/
연락처
컬처브릿지 서울돈화문국악당
콘텐츠사업팀
안소현 PD
02-3210-7005
이메일 보내기
문의
02-3210-7001
이 보도자료는 컬처브릿지 서울돈화문국악당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