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이트급여 ‘월급제’(35%) 가장 많아

서울--(뉴스와이어)--아르바이트 급여는 주로 월급제로 지급되며, 건설노무직이 월 1백 66만원으로 가장 많은 급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전문 구인구직 포탈 알바몬(www.albamon.com, 대표 김화수)이 2006년 1월 1일부터 5월 현재까지 자사 사이트에 게재된 아르바이트 채용공고를 분석, 각 업/직종별 아르바이트 급여 지급 방식과 급여 수준을 조사했다.

급여의 지급은 업종, 직종, 업태와 무관하게 대부분 '월급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각 공고를 분석한 결과 '월급(35.84%)>시급(28.75%)>일급(7.37%)'의 순으로 급여를 지급하고 있었으며, 주급제로 지급하는 업체는 전체 업체의 0.27%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직종이 월급 중심으로 급여를 지급하는 데 비해 PC방, 노래방, 각종 대여점, 편의점, 패스트푸드, 커피숍, 주점, 음식점 등 상대적으로 아르바이트생의 연령이 어리고 사업장 규모가 작은 편의시설에서는 시급제를 더 많이 채택하고 있었다. 다만 개인의 능력을 많이 반영하여 '포트폴리오'제출을 의무화하는 직업적 특성을 갖는 ‘컴퓨터 및 디자인’ 계열의 업종에서는 정확한 임금을 제시하기보다 '추후 협의'를 통해 급여수준을 결정하는 업체가 56.23%에 이르렀다. 또 근무지 이동이 잦은 '건설/노무'직종에서는 정해진 임금 외에 별도의 식대를 지급하거나 숙소를 제공하는 업체가 전체 공고의 약 43.7%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급여 수준은 업종, 직종, 업태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각 <업종별>로 급여수준을 살펴보면 각 분야별 전문지식이 요구되는 △교육/학원이 5,842원으로 가장 높은 시간당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또 △고객상담/홍보가 5,016원 △사무/출판/방송이 4,469원 △컴퓨터/디자인이 4,244원으로 뒤를 이었다. 많은 자격과 기능을 요구하지 않는 △기능/생산/노무와 △서비스/판매는 각각 4,168원, 4,113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시급을 지급하고 있었다.

<직종별>로는 지급 방법에 따라 급여 순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업체에서 선호하는 월급제 방식으로 급여를 지급하는 업체들의 경우, △건설노무가 월 1,663,420원으로 가장 높은 급여를 제시하고 △대학강사(1,500,000원)와 △개인지도/과외(1,490,588원)가 뒤를 이었다. 임금이 가장 낮은 직종은 △컴퓨터 설치/수리로 991,324원이었다.

반면 시급제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가장 임금이 높은 직종은 평균 시급 7,150원을 제시하고 있는 △외국어강사로 나타났는데, 이는 월급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상위 14위에 속했던 직무다. 그 외에 시급을 기준으로 상위 10개 직종에는 △개인지도/과외 등 △교육/학원 업종이 무려 7개나 포진했다. 각 직종별로 급여 지급방식에 따라 급여 순위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교육/학원 등 일부 직종이 투자하는 시간에 비해 많은 급여를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즉 △건설 노무직의 경우 시간당 급여는 4,562원으로 중상위에 속하지만, 하루 평균 근로시간이 5시간 이상으로 업무에 투자되는 시간이 길다 보니 월급으로 환산했을 때는 △교육학원 업종보다 더 많은 급여를 지급받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실제로 시급으로 환산했을 때 월급보다 훨씬 높은 임금 수준에 속하는 직종은 하루 2~3시간 근무로 업무가 끝나는 전문직이 주를 이루었다. 시급과 월급간 격차는 △방송/사진/촬영 △스포츠/예능강사 △전단지 배포 △간호/간병 △베이비시터/파출부 △여행가이드 △컴퓨터 설치 및 수리 △번역/통역 △컴퓨터/정보통신 강사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이사/운반/물류, 외국어 강사 △편집/산업 디자인도 10계단 이상의 높은 순위 차이를 보였다.

<업태별>로는 △경비/시설관리업이 시간당 4,602원으로 가장 높은 임금을 지급하고 있었으며 △교육/학원(4,583원) △방송/문화(4,512원) 순이었다. 그 외 △연구소, 공공기관 △일반기업 및 금융이 4천원대로 비교적 높은 임금을 제시하는 업태로 분류된다. 가장 낮은 임금을 제시하고 있는 △기타 서비스업의 경우 시간당 3,835원을 지급하고 있었으며 △음식점/주점/프랜차이즈에서는 이보다 다소 높은 시간당 평균 3,985원을 지급하고 있다.

알바몬 이영걸 본부장은 “이번 조사는 각 업/직종에 따라 어느 정도의 임금이 적정한 수준인지 궁금해하는 사업주와 아르바이트 구직자를 위해 이루어졌다”고 밝히고 “최저임금을 보장함은 물론, 각 근로자의 노동 가치에 부합하는 적정한 임금 수준이 실현될 수 있는 사회 각층의 관심과 실천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잡코리아 개요
잡코리아는 세계 최대 온라인 리쿠리트 사이트인 몬스트닷컴과 함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업에게는 글로벌 인재 확보의 기회를, 구직자들에게는 글로벌 기업으로의 취업과 세계 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jobkorea.co.kr

연락처

잡코리아 아르바이트 사업본부 안수정 02-3466-5294(292) 016-401-6865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