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차세대전지(소재) 2019년 실태·개발방향 및 상용화 세미나 개최
현재의 주류인 리튬이온전지는 기술적 진화의 한계에 도달하여 고비용, 불충분한 에너지 밀도, 긴 충전시간, 짧은 사이클 수명, 안전성 등의 문제에 대한 지속적 대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전고체전지, 리튬금속전지, 리튬황전지 등 3개 차세대전지 중에서 리튬이온전지에 필요한 전해액과 분리막을 없애고 이 공간에 에너지밀도가 더 높은 물질을 집어넣은 전고체전지가 대표적인 차세대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산업교육연구소(소장 김성의)가 22일(화) 서울 여의도 신한금융투자빌딩 신한WAY홀에서 ‘2019년 2차전지/차세대전지(소재) 실태 및 개발방향과 상용화 세미나’를 전고체전지 중심으로 개최한다.
세미나에서는 2019년 리튬이차전지 시장 전망과 주요업체의 차세대전지(소재) 기술개발 방향과 전기차용 리튬이차전지 및 4대소재 개발 실태/방향과 전고체전지의 제반 분야를 살펴보고 리튬금속전지 연구, 기술개발 동향과 주요과제 및 상용화 전망을 공유한다.
이날 발표될 ‘2019년 2차전지·차세대전지(소재) 실태 및 개발방향과 상용화 세미나’의 발표 주제 및 발표자는 다음과 같다.
△‘전기차 리튬이온전지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동향’ -글로벌 전기차 시장전망 -유망전지 기술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대한 영향 등 발표자: LG경제연구원 신장환 연구위원
△‘2019년 전기차 리튬이차전지 산업과 소재 기술개발 실태 및 방향(로드맵)’ -전기차 리튬이차전지 산업동향 -전기차 리튬이차전지용 소재 개발실태 및 방향(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등 발표자: 자동차부품연구원 엄지용 박사
△‘리튬이온이차전지용 차세대 양극재 산업 기술개발 동향’ 발표자: 한림대학교 한동욱 교수
△‘전고체전지 최신 분석 및 국내,외 연구·기술개발 동향과 주요과제’ -전고체전지 A에서 Z까지 -우리나라 전고체전지의 현주소 - 전고체전지 기술의 주요과제 등 '발표자: 한국화학연구원 석정돈 박사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전고체전지 연구·기술개발 실태와 주요과제 및 상용화 전망’ 발표자: 전자부품연구원 김경수 박사
△‘비황화물계(산화물, 비정질계)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전고체전지 연구·기술개발 실태와 주요과제 및 상용화 전망’ 발표자: ㈜세븐킹에너지 손정우 전무
△‘전고체전지 상용화를 위한 고용량 활물질·고체전해질 복합전극 제조 기술개발과 주요과제 및 기대효과’ 발표자: 한국전기연구원 하윤철 박사
△‘리튬금속전지 연구·기술개발 동향과 주요과제 및 상용화 전망’ 발표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원일 박사
한편 산업교육연구소 정보사업부 서옥화 팀장은 “최근에 정부 주선으로 국내 2차전지 3사가 차세대전지 펀드를 조성하고 공동 연구개발을 시작한 것은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며 “이번 세미나가 2019년 리튬이차전지의 전망과 전고체를 비롯한 차세대전지의 국내외 기술개발의 현주소 및 사업모델을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국내외 관련 업계의 동향을 조명함과 아울러 향후 시장요구와 기업의 기술개발 방향 제시를 위한 소중한 시간이 될 수 있도록 관계되시는 분들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더 자세한 세미나 내용 및 참석 문의는 산업교육연구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웹사이트: https://www.kiei.com/
연락처
산업교육연구소
최광민 팀장
02-2025-1333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