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3월부터 사용할 새 교과서 학생 참여 중심으로 바뀐다”
’새 교과서‘는 학습량을 적절하게 줄이고, 실제 배움이 일어나는 학생 활동과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경험을 단계적으로 제시하여 공교육에서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과도한 학습 분량, 학생의 흥미·참여 유도에 부적합한 구성, 일상생활과 괴리된 제재와 활동 등 현장 전문가들이 우려하던 기존 교과서의 문제점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과서를’ 가르치던 수업에서 ‘교과서로’ 배우는 수업으로 변화
전문가 자문과 델파이 조사를 거쳐 선정한 우수사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학기 한 권 읽기’로 국어 능력자 되기, 실제 ‘읽기’ 보다 ‘읽기에 대해’, ‘쓰기’ 보다 ‘쓰기에 대해’ 공부하는 대신, 국어 시간에 책 한 권을 선정하여 읽고, 그 과정에서 친구들과 토의하고, 결과를 정리하고 표현하는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국어 능력을 기르도록 하였다.
둘째 지식과 내 삶의 긴밀한 연결고리는 사회, 기존 교과서가 ‘학습의 결과로 무엇을 알고 있는가’를 확인했다면 새 교과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요소’를 강화하고 교실 내 학습을 학교 밖의 삶과 연계하는 활동을 강조하였다.
셋째 생활 속 수학의 쓰임을 알면 ‘수학=호감’, 학습 분량과 난이도를 학생 수준에 맞추어 학습 부담은 낮추고, 꼭 배워야 할 내용은 협력·탐구하는 다양한 활동으로 제시하며, 실생활 속 활용 예시를 통해 수학의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넷째 과학 지식을 실생활에 활용한 융합 학습, 초등 교과서는 과학 지식을 놀이와 연계하여 자연스럽게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중등 교과서는 실생활과 연계한 창의·융합 활동을 통해 과학 원리와 지식이 우리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생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실전 영어 기초부터 수업시간에 숙달, 교과서 속 상황을 학생의 일상 생활과 연계하고, 영어 표현을 숙달하기 위한 참여 활동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수업 시간에 배운 표현을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 변화 넘어, 삶의 변화 이끄는 교과서 되길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현장 전문가들은 오랜 시간이 걸리고, 교사·학생 모두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이 방향으로 꾸준히 교과서와 수업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았으며, 새 교과서가 가져올 교육 현장의 변화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아울러 아이들이 소통하고 협력하며 배우는 수업을 경험하려면 교육 공동체가 참여 중심 수업의 가치를 공유하고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교육부 남부호 교육과정정책관은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능력을 길러주는 학교 교육을 위해 교육공동체의 지혜와 열정을 모을 때이다”며 “앞으로 학생의 참여중심 수업에 필요한 연구 환경 및 물리적 여건 조성을 위해 시·도교육청과 함께 행·재정적 지원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moe.go.kr/
연락처
교육부
교과서정책과
이지은 연구사
044-203-7035
-
2018년 12월 17일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