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살시도자 응급의료비 지원’ 사업 확대 시행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가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과 함께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시민 중 응급치료비로 두 번 울게 생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응급의료비를 최대 50만원 지원한다.

이는 초기단계 적극적인 개입을 통한 자살 재시도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써, 시는 25개 자치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지속적인 상담 및 치료 등 전문적인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서울시는 지난해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과 업무협약으로 4개 병원에서 시범 추진한 ‘자살시도자 응급의료비 지원’ 사업을 올해 병원을 20곳으로 늘려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참여하는 20개 병원은 ▴강동성심병원 ▴건대병원 ▴고대구로병원 ▴한전병원 ▴보라매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프라임병원 ▴한양대병원 ▴마이크로병원 ▴서울중앙병원 ▴고대안암병원 ▴서울아산병원 ▴이대목동병원 ▴강남성심병원 ▴순천향대학병원 ▴국립중앙의료원 ▴서울백병원 ▴서울의료원 ▴녹색병원이다.

지난해에는 한전병원(도봉구), 이대목동병원(양천구), 서울의료원(중랑구),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영등포구) 4곳이 참여했다.

보건복지부 발표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자살시도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사람은 연간 4만 명 정도로 추정되며, 이중 92%는 지속적인 상담 및 치료 등 전문서비스 개입이 이뤄지지 않고 귀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자살시도자 중 재시도하는 비율은 1년 이내 16%, 2-4년 이내 21%, 4년 이상 23%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에 서울시는 응급실-25개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유기적으로 연계, 자살 잠재군인 자살시도자 사후관리를 통해 재발 방지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들 병원 응급실로 자살시도자가 내원하게 되면 병원에선 해당 자치구에 있는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연락해 상담사가 응급실을 방문하게 한다. 이때 자살시도자가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위기개입 서비스에 동의하면 응급의료비와 사후관리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한다.

응급의료비 지원은 자살시도로 응급실에서 응급처치는 받았지만 돌봐줄 가족이 없는 시민이나, 국민생활기초수급자거나 차상위 계층임이 확인된 시민 등 치료비를 부담할 수 없는 경제적 사정이 곤란한 시민을 대상으로 하며, 1인당 1회에 한해 최대 50만원의 의료비를 지원한다.

국민생활기초수급자나, 차상위 계층이 아닌 갑작스러운 파산이나 어려운 경제사정으로 자살을 시도한 시민은 별도의 심사를 진행해 의료비를 지원한다. 지원방법은 해당 병원에서 응급 치료 후 치료비나 입원비를 직접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으로 청구하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자살시도자가 건강한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거주지 내 보건소(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정서안정 및 자살재시도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상담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

자살시도자 응급의료비 지원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청 보건의료정책과(2133-7545) 또는 서울시정신건강증진센터(3444-9934, 내선 290-299)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

박유미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장은 “자살시도자 1명의 자살 재시도를 막기 위한 노력은 가족과 친구 등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5명의 생명을 살리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자살시도자는 자살 잠재군인 만큼 초기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자살 재발로 이어지지 않도록 사회 안전망을 탄탄하게 엮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소개
서울특별시청은 국제적인 도시이자 한국의 수도인 서울의 1천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이다. 서울시청은 2011년 10월부터 시민운동가 출신인 박원순 시장이 시정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 박원순 시장이 공약한 프로젝트는 집 걱정 없는 희망둥지 프로젝트, 밥과 등록금 걱정없는 배움터 프로젝트, 창조적이고 지속가능한 좋은 일자리 만들기, 전시성 토건사업 재검토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 기본이 바로선 도시와 안전한 도시시스템, 부채감축과 재정혁신을 통한 균형살림, 창조성과 상상력으로 서울경제 점프업, 소통 협력 참여 혁신으로 열린시정 2.0, 여성과 가족복지 등 여성 희망 프로젝트, 더불어 행복한 복지 우산 프로젝트이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복지건강실
복지정책과
김선심
02-2133-7545